티스토리 뷰

청년도약계좌는 정부에서 만 19~34세 청년들의 목돈 마련을 지원하기 위한 금융상품으로, 적금을 통해 최대 5천만 원의 혜택을 제공받을 수 있습니다. 23년 6월 15일 출시하는 청년도약계좌 신청 방법아래 버튼을 통해 빠르게 확인할 수 있습니다.

 

청년-도약-계좌-신청
청년 도약 계좌 신청

 

 

 
 

목차

1. 청년도약계좌란?

2. 가입 조건

3. 수령 금액

4. 신청 및 심사방법

 

 

청년 도약 계좌란?

 

정부에서 청년들의 자산을 형성할 수 있도록 지원하는 제도로, 매달 70만 원 한도 내에서 자유롭게 일정 금액을 5년간 납입하면 정부 지원금금융기관 이자를 더한 금액을 만기 시 수령할 수 있는 상품을 말합니다.

 

 

요약) 본인 납입금 + 정부 기여금 + 은행 이자 (이자 소득 비과세 혜택 적용)

 

 

청년도약계좌 가입 조건

 

1. 신청일 기준 만 19~34세 (병역 이행 기간은 연령 계산 시 미 산입하여, 최대 6년까지 + 가능)

만 나이 계산 바로가기

 

2. 개인소득 7,500만 원 이하, 가구소득 중위 180% 이하 충족

(총 급여 기준 6천만 원 이하: 정부 기여금 지급, 비과세 적용/ 6천만 원 이상: 정부 기여금 미지급, 비과세만 적용)

 

가구-중위-소득
가구 중위 소득

 

※ 단, 직전 3개년도 중, 1회 이상 금융소득종합과세 대상자는 가입 제한 (이자소득 + 배당소득이 2,000만 원을 초과할 경우

 

※ 청년내일저축계좌, 청년내일채움공제, 지자체 상품 등은 동시가입 허용되나, 청년희망적금은 만기 후 청년도약계좌에 가입 불가능

 

 

청년도약계좌 수령 금액

 

매달 70만 원 한도 내에서 자유납입이 가능한 5년 만기 상품

 

● 금리는 가입 후 3년 고정금리 + 2년 변동금리 적용 (청년도약계좌 은행별 금리 확인하기)

 

● 개인소득 수준과 납입한 금액에 따라 정부 기여금을 지원받을 수 있고, 매칭비율은 개인소득이 낮을수록 많은 지원이 이뤄지도록 소득별 차등

 

● 총 급여 4,800만 원 이하일 때, 월 40~60만 원을 납입해도 정부 기여금 수령 가능하도록 기여금 지급한도 설정

 

 

< 소득별 지원금액 >

총급여 월 납입 한도 기여금 매칭비율 기여금 지급한도 월 최대
지급 기여금
2,400만원 이하 70만원  6.0% 40만원 2.4만원
3,600만원 이하 4.6% 50만원 2.3만원
4,800만원 이하 3.7% 60만원 2.2만원
6,000만원 이하 3.0% 70만원 2.1만원
7,500만원 이하 - - -

 

수령금액 자동계산 쉽게 보기

 

청년도약계좌 수령금액 자동계산.cell
0.01MB

 

 

청년도약계좌 신청 및 심사 방법

 

● 2023년 6월 15일 접수 시작 (청년도약계좌 신청 바로가기)

 

● 농협, 신한, 우리, 하나, 기업, 국민, 부산, 광주, 전북, 경남, 대구은행 (SC제일은행 24년 1월 운영) 등은행 온라인 비대면 가입 가능

 

● 청년도약계좌 신청 첫주에는 출생년도 기준 5부제 가입신청 가능 

 

 

↓↓청년도약계좌 신청 일정 한눈에 보기↓↓

 

청년도약 6~7월 신청 및 개설 일정.pdf
0.06MB

 

 

 가입신청 후 비대면 심사를 실시하며, 개인소득과 가구소득 심사를 병행해서 진행

 

● 가구원은 가입 당시 기준이며, 개인·가구소득은 22년 소득이 확정되기 전까지 21년 소득을 기준으로 가입 여부 판단 (22년 소득은 23년 7~8월 확정)

 

● 가입일로부터 1년을 주기로 개인소득을 유지심사하여 정부 기여금 지급 규모를 조정, 가구원 변동으로 인한 불이익 방지를 위해 가구소득 변동은 미반영

 

 

요약) 가입신청 → 소득심사 → 유지심사 

 

청년도약계좌
청년도약계좌